본문 바로가기

Flutter

평범한 웹 개발자의 Flutter - 구조잡기

 

앱과 웹의 개발할 때 차이점 중 하나는 컴포넌트들의 정의 여부인것 같다.

나는 웹만 아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점이 가장 먼저 느껴지는 것 같다.

웹은 html에서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div에다가 javascript, css를 주는 것만으로

Scaffold가 되고 AppBar가 되고 Navigation이 되고, Body가 되었다면,

Flutter는 이런 것들이 미리 다 정의가 되어 있는 형태이다.

 

그도 그럴것이 Flutter가 안드로이드와 iOS로 적절하게 빌드를 해주기 위해서는

웹과는 다르게 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.

bootstrap처럼 div에 클래스로 적는다고 해서 그 역할들을 모두 정의하기에는 역부족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.

 

 

https://flutter.dev/docs/development/ui/widgets

https://flutter.dev/docs/development/ui/widgets/basics

https://flutter.dev/docs/development/ui/widgets/layout

 

Basic widgets

 

flutter.dev

이러한 구조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 문서를 많이 봐야 할 것 같다.

이 문서에 대한 내용들은 추후에 하나씩 업데이트 해봐야겠다

 

 

 

 

 

컴포넌트의 구조를 잡는거는 인수분해를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인것 같다.

더 이상 나눠지지 않는 컴포넌트(Text, Image, Icon) 만큼 나눠야 한다.